피복 고정이 용마루와 물받이 위 두군데라 개폐 반복에도 피복 손상이 없다
지붕 개폐 구조로 더운 공기 신속 배출
천장을 열었을 때 온실 내부공간이 넓어져 대류 촉진
설치과정최첨단 설비 및 코팅액 기술로 개발한 장기성 열차단 코팅 필름.
투명성과 내구성을 갖춰 작물에 적합한 최적의 필름
최대 펼친 폭 기준 12m까지 열봉합없이 직접 포장이 가능
설치과정가볍기 때문에 유지보수도 용이
비닐 아래 개폐 구조로 내부식성에 대한 장점 유지
구역을 설정하여 자동화함으로써, 부분별 환기 가동 가능
설치과정차광스크린은 베트남 기후적 특성을 반영하여 강한 빛을 차단(차광)하여 내부 온도 상승 저지.
산광 스크린은 직사 광선을 분산시켜, 식물의 광합성을 유지
직사 광선이 식물의 엽(잎)의 온도를 올리는 것을 방지
설치과정알루미늄 스크린은 빛 반사율이 뛰어나 더운 여름철에는 차광효과가 뛰어남
산광스크린은 직조된 필름을 이용하여 빛을 효과적으로 분산.
스마트팜과 연계된 자동 개폐 방식으로 운영
배기FAN은 강제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
Fog 시스템 운영 시 내부 습도가 높아지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기FAN을 동시 사용함으로써, 습도 조절.
우천 시에는 지붕 개폐를 사용하지 못하며, 이를 대비하여 측면을 통한 강제 배기 운영.
설치과정대풍량(43,000 ㎥/h)의 장비로서, 대형 온실 등에 적합.
저전력(1.1kw)으로 개발된 제품으로 운영 효율이 높음.
내구성 강화를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 제질로 날개를 구성.
냉방 공조기를 통해 공급된 차가운 공기를 온실 내부에 순환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순환시켜 공기 편차를 최소화
설치과정내구성 좋은 모터 사용으로 불량률을 현저히 낮춤
간편하게 설치 가능
작물 생육에 필요한 엽면 시비 등에 활용.
농약, 영양재 등의 자동 분사하여 작물 생육에 도움..
설치과정주행 구동부는 25Ø, 32Ø, 42Ø 어떤 레일 구조에도 적용 가능
고른 분사로 작물 잎의 뒷면까지 방제 가능
자동 프로그램화 된 구동부 주행 장치
농약 호스와 전선의 일체화로 완벽한 내구성
작물의 성장에 따라 분사량, 분사각도 조절
각 단별로 노즐 잠금장치 기능
구동부의 기존 체인에서 타이밍 벨트로 소음 최소화
완벽한 설계로 A/S 최소화
기화열 냉각 방식을 이용한 분무 장치로 내부 온도를 낮춤.
내부 미세 분사를 통해 습도를 유지
설치과정30HP/500L 에어콤프레샤
80A/5HP 분무기 또는 펌프사용
OCR 보호기능(모터 과부하 방지)
자동밸브기능
분무시간 에어시간 자동타이머
각 동별 순차분무
고설 베드는 딸기를 수경 재배하기 위한 기초 시설이며, 작물에 영양분 공급, 수분 유지가 가능.
양액기를 통해 영양분 공급 시 토양의 상태(EC, pH, 온도) 등의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
근권 냉방은 작물의 뿌리 부근의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장치이며, 냉각된 물을 순환 시켜 이용.
노동력 절감 및 경작업화로 재배시스템의 규모를 확대.
토양재배보다 1.5개월 정도 수확기간이 연장되므로 총수량이 증가.
이화학성 토양에서도 인공 베드 시설로 재배가 가능해 짐.
딸기의 경우 과수의 높이를 조절하여 노동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
외부 공기를 냉각하여 공급함으로써, 온실 내부 온도를 조절하고 관리함.
특히, 야간 온도를 낮추어 적산온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과수의 품질을 결정.
주간에는 Fog 시스템와 배기FAN, 야간에는 공조기를 통해 내부 온도 관리.
설치과정하이브리드 공조기는 2중 냉각 구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크게 절감
기존 냉방 장비(에어컨, 일반 공조기, 기화식 냉풍기 등)들의 장점을 포괄하여 제작
본 장비는 특허(기화-증발 방식의 2중 냉각 방식, 특허 제10-2138284호) 등록 장비.
양액공급기는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물과 함께 공급하는 기계장치
생육 적기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어 양분의 효율을 높이고 노동력 절감 및 수확물 품질 향상
양액 자동공급기는 정밀 농업을 위해 영양분의 배합을 통한 EC 관리와 pH 관리를 가능하게 함.
세계 최고 수준의 EC, pH 센서와 당사가 직접 만든 컨버터, 일사량, 토양온도, 토양수분 센서를 사용하여 신뢰성 확보
모터펌프, 밸브, 여과기 등 세계최고 수준의 부품을 사용하여 안정성과 정밀도를 높임.
재배지를 최대 12구역(라인)으로 분할하여 공급할 수 있음.
각종 센서들이 측정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을 종합적으로 연산하여 모터펌프, 전자밸브 등의 개별 유니트를 정밀하고 균형있게 제어
각종 센서를 통해 내/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시설 운영에 활용
설치된 설비의 자동제어 조건을 통해 최적의 온실 환경 구성
재배, 구매, 영업 데이터를 입력하고, 손익 정보를 관리
통합되고 단일화된 시스템을 통해 환경 정보 수집, 제어, 경영 관리를 통합하여 관리.
Cloud Web 기반의 Application으로 최신 Node.js 기술을 적용
한국(세계) 국가 표준 기술(RS 485 modbus 등)을 체택하여 구성
외부 기상 상태, 내부 환경 등의 센서를 통해 내외부 설비의 자동제어 구성
환경 제어와 함께, 농업 ERP 기능을 통한 경영시스템 제공
다국어 제공으로 자국 언어를 선택하여 운영 가능